본문 바로가기
Private & Public Cloud/VMware vSphere

ESXi 호스트 유지보수 모드와 vCLS 관련 내용 정리(vCLS 재배치, vCLS Retreat Mode)

by TwoJun 2025. 3. 28.

1. ESXi 호스트 전원 종료 시 - 유지 보수 모드(Maintenance Mode)를 권장

1-1. 호스트 내부 VM Running 상태 또는 vCLS Running 상태일 때 호스트 종료 시 유지보수 모드 권장

호스트에 vCLS만 Running 일 때
호스트에 vCLS, VM이 모두 Running 중일 때

(1) 위와 같이 VM이 동작 중인 상황에서 호스트 종료 시, 유지 보수 모드를 걸고 종료해야 한다.

 

 

 

 

 

2. ESXi 호스트 유지 보수 모드 활성화 / 비활성화하는 경우 : vCLS 배치

2-1. 전원 OFF 후 일시 중단된 VM을 클러스터의 다른 호스트로 이동 옵션

 

(1) 위와 같이 유지 보수 모드를 시작하려면, 내부에서 동작 중인 VM의 전원을 끄거나 다른 호스트로 마이그레이션해야 한다. 

 

(2) vCLS는 옵션 활성화 여부와 관계 없이 다른 호스트로 마이그레이션된다.

 

 

 

 

 

2-2. 해당 옵션 비활성화 시 : ESXi-01 호스트 

 

(1) 위의 같이 옵션을 비활성화하고 유지보수 모드를 시작한 상황이다.

 

 

(2) 시간이 지나면 ESXi 1번 호스트에 있던 vCLS가 다른 호스트로 재배치된다.

 

 

(3) DRS가 활성화되어 있다면 전원이 켜진 linux-01 VM을 다른 호스트로 DRS vMotion해야 한다는 권장 메시지가 확인된다 (DRS 수동 옵션일 시)

 

(4) 만약 VM 전원이 꺼져 있다면 마이그레이션 없이 그대로 유지 보수 모드가 걸린다.

 

 

(4) DRS 권장사항에 의해 실행 중인 VM을 다른 호스트로 vMotion을 진행하면  ESXi-01 호스트에 유지 보수 모드가 활성화된다. 

- VM이 동작 중이므로 유지보수 모드가 아닌 다른 호스트로 마이그레이션하거나 VM의 전원을 꺼야 하는 상황이다.

 

 

 

 

2-3. 해당 옵션 활성화 시 : ESXi-01 호스트 

(1) 해당 옵션 활성화 후 유지 보수 모드를 진행한다.

 

 

(2) 위와 마찬가지로 vCLS가 유지 보수 모드가 활성화되려고 하자 다른 호스트로 재배치된다.

 

 

(3) DRS가 활성화되어 있어서 권장사항에 의해 유지 보수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VM vMotion이 필요하다는 메시지가 나타난다.

 

 

 

 

2-4. 정리

(1) 해당 옵션 활성화 여부와 관계없이 유지 보수 모드를 걸면 vCLS는 다른 호스트로 재배치되지만 실행 중인 VM은 다른 호스트로 DRS에 의한 vMotion 하거나 또는 전원을 끄는 등의 추가 작업이 필요하다.

- 이 부분이 선행되어야 호스트에 대한 유지 보수 모드가 활성화된다.

 

(2) vCLS 재배치는 HA 영향을 받지 않는다.

- 테스트 진행 시 HA Enabled, Disabled 상관없이 유지 보수 모드에 의한 재비치가 이루어진다.

 

(3) 호스트의 유지 보수 모드를 해제하면 vCenter 정책에 의해 vCLS가 다시 해당 호스트로 재배치된다. 

- 운영되는 호스트 수가 많을 경우 다른 호스트로 재배치될 수도 있다.

 

 

 

 

2-5. 테스트 케이스 정리 : DRS 자동화 수준 - 수동

VM, vCLS 모두 동작 중
옵션(전원이 꺼지고 일시 중단된 가상 머신을 클러스터의 다른 호스트로 이동) 활성화 > 유지보수 모드 활성화
vCLS는 마이그레이션됨 
VM은 전원을 끄면 유지보수 모드 바로 걸림, 만약 전원 켜져 있다면 다른 호스트로 vMotion 해야 유지보수 모드 동작


VM, vCLS 모두 동작 중
옵션 비활성화 > 유지보수 모드 활성화
vCLS는 마이그레이션됨 
VM은 전원을 끄면 유지보수 모드 바로 걸림, 만약 전원 켜져 있다면 다른 호스트로 vMotion 해야 유지보수 모드 동작



VM OFF, vCLS만 동작 중
옵션 활성화 > 유지보수 모드 활성화
vCLS는 마이그레이션됨 
VM은 마이그레이션되지 않음 


VM OFF, vCLS만 동작 중
옵션 비활성화 > 유지보수 모드 활성화
vCLS는 마이그레이션됨 
VM은 마이그레이션되지 않음 

 

 

 

 

 

 

 

 

3. ESXi  호스트 장애 상황인 경우 : vCLS 배치

3-1. ESXi-02 호스트 장애 상황 : 호스트 전원이 Down 되는 경우 : 호스트 내부 동작 중인 VM, vCLS 모두 존재

(1) vCLS VM 외에 Running 중인 VM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호스트 장애 상황을 구성했다.

- Nested 환경이므로 해당 VM 전원 종료

 

 

(2) 호스트 전원 종료로 vCenter에서 호스트 동기화가 불가능한 상태이다.

(3) 하지만 vCLS는 계속 운영 중이고, vCenter에서 이 부분을 인식할 수 없을 뿐이다. 

- 다른 호스트로 vCLS가 재배치되지 않는다.

 

 

 

 

 

 

 

 

4. vCenter와 ESXi 호스트 연결이 Disconnection 되는 경우 : vCLS 재배치 

4-1. vCenter와 호스트 연결 강제 종료 : 호스트 내부에 vCLS만 존재

(1) 위와 같이 ESXi-01 호스트에 vCLS만 동작 중인 상황에서 vCenter와의 연결을 끊는다.

 

 

(2) 위의 상황에서는 vCenter와 호스트의 연결을 강제로 끊어놓은 상태이므로 vCLS는 동작 중이지만 호스트와 연결이 끊긴 상태이므로 vCenter에서 이 부분을 인식할 수 없는 상황이다.

- ESXi 호스트 클라이언트에서 확인해 보면 호스트와 vCLS VM 모두 동작 중인 상태이다. 

 

(3) vCLS 재배치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4) 실습 환경을 복구해 놓기 위해 ESXi-01 호스트를 인벤토리에서 삭제한 후 클러스터에 재등록시키면 이전과 다른 vCLS가 생성되며 vCLS가 활성화된다.

 

 

 

 

 

 

5. vCLS Retreat Mode

(1) Retreat Mode가 필요한 상황은 아래와 같은 상황이 있다.

 

- Retreat Mode는 vCenter에서 클러스터를 운영할 때 활성화 가능한 옵션으로 클러스터 내부에서 vCLS VM들이 실행되지 않도록 한다. 

 

(2) 스토리지 노후화로 교체 작업 필요 시 기존 호스트에서 운영 중이던 데이터스토어를 마운트 해제해야 하는데, 해당 데이터스토어에 vCLS가 존재할 경우 위와 같이 DS가 Unmount 되지 않는다.

 

(3) 따라서 클러스터 구성에서 vCLS > General  항목에서 Retreat Mode를 활성화해서 운영 중인 vCLS를 모두 제거한 후 DS 마운트 해제가 필요하다.

 

(4) 위와 같은 상황에서 Retreat mode를 사용해 볼 수 있다.

 

 

 

 

 

 

 

※ 해당 포스팅을 기준으로 내용 추가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면 기존 내용에 다른 내용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공부하며 정리한 내용이기에 오타나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