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vCenter HA
1-1. vCenter HA 정의 및 특징
(1) vCenter에 가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
(2) 구성 시 Active vCenter가 Down 되면 Passive vCenter가 Active vCenter로 동작하게 된다.
(3) vCenter HA(VCHA) 구성 시 Active, Passtive, Witness 노드로 구성된 3노드 클러스터가 생성된다.
1-2. VCHA 구성 요구조건
(1) Windows 기반 vCenter Server에서는 작동하지 않으며, vCenter Server Appliance(VCSA)에서만 작동한다.
(2) ESXi 호스트의 경우 6.0 이상, vCenter는 6.5 이상이어야 한다.
(3) 배포되는 vCenter는 Small 이상부터 사용할 것
(4) VMFS, NFS, vSAN 데이터스토어 유형에서 VCHA 구성 가능
(5) vCenter Standard 라이센스 이상에서만 동작
(6) vCenter HA 네트워크의 경우 관리 네트워크(MGMT)와 다른 서브넷 대역에 존재해야 한다.
- vCenter HA 하트비트 네트워크는 vSS 또는 vDS의 PG를 생성해야 하고 vCenter의 MGMT 대역과 분리가 필요하다.
(7) 각 노드를 서로 다른 호스트에서 실애하기 위해 최소 3개의 ESXi 호스트 사용 권장
(8) vCenter HA 구성 시 총 4개의 IP가 요구된다
- 각 노드에는 두 개의 NIC가 있고 첫 번째 어댑터는 MGMT, 두 번째 어댑터는 vCenter HA 하트비트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1-3. Active, Passive, Witness Node 동작 방식
(1) Active Node : 활성(능동) 노드
- 현재 vCenter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인 노드, 모든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한다.
- 수동 노드로 vCenter의 상황을 라이브로 복제한다.
(2) Passive Node : 수동 노드
- 수동 노드의 경우 활성 노드의 복제본으로 활성 노드 장애 시 vCenter 역할을 이어받게 된다.
- 활성 노드의 라이브 복제 데이터를 계속 이어받는다. (동기화)
- 자체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진 않지만 활성 노드 장애 시 vCenter 서비스를 바로 이어받아 수행할 준비를 하고 있다. (Standby)
(3) Witness Node : 감시 노드
- 활성, 수동 노드 사이에서 판단 및 감시 역할을 수행한다.
- 클러스터의 상태를 감시하는 역할
- 활성, 수동 노드 간 어떤 노드가 정상인지 상태 판단 역할을 수행한다.
1-4. 노드 간 하트비트 교환 방식
(1) 각 노드들은 구성된 HA 네트워크를 통해 하트비트를 주고받게 된다.
(2) 활성 노드와 수동 노드 간 라이브로 데이터 복제가 일어나며, 하트비트를 서로 주고받으며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3) 감시 노드는 활성, 수동 노드와 각각 하트비트를 주고받으며 상태를 확인한다.
1-5. 페일 오버 판단
(1) 특정 시간 동안 하트비트 응답이 없으면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한다.
(2) 활성 노드의 장애 발생 시
- 감시 노드와 수동 노드가 서로 통신이 가능하면 해당 수동 노드를 활성 노드로 승격시킨다.
- 이후 장애 복구 시 활성 노드를 수동 노드로 재설정할 수 있다.
(3) 수동 노드 장애 발생 시
- 활성 노드는 계속 서비스를 수행하고, 수동 노드의 장애 상황만 따로 알람으로 알려준다.
(4) 감시 노드 장애 발생 시
- 활성, 수동 노드는 계속 서비스되며, 감시 노드의 장애 상황만 따로 알람으로 알려준다.
(5) 활성, 감시 노드 장애 발생 시
- vCenter 서비스 불가 상황으로 자체적으로 확인 후 복구가 필요하다.
2. 활성 노드(Active Node) vCenter에 대한 VMNIC 추가 및 주소 할당
(1) vCenter에 VMNIC 할당이 필요하다면 환경에 따라 vCenter VM 전원을 끄고 vmnic을 새로 할당한다.(Nested 환경 기준)
- VM > 설정 편집 > 새로운 NIC 어댑터 추가
(2) 이후 vCenter VAMI에 접속해서 새로 추가된 vmnic에 대한 VCHA 하트비트 네트워크 대역에 대한 주소를 추가한다.
- 우측에서 편집을 눌러 설정할 수 있다.
(3) 새로 할당한 NIC 1 선택
(4) DNS 주소, 추가된 NIC에 대한 IP, IP Prefix, Gateway 정보를 입력한다.
(5) 최종적으로 입력된 정보를 확인하고 구성을 완료한다.
(6) 네트워크 Config가 완료되면 NIC 상태가 Down → Up 상태로 변경된다.
3. vCenter HA Config
3-1. vCenter HA Config
(1) vCenter > 구성 > vCenter HA > vCenter HA 설정 버튼을 클릭한다.
3-2. 관리 vCenter Server 자격 증명
(1) 현재 테스트 환경의 경우 Nested 환경이므로 vCenter VM이 존재하는 vCenter 환경의 FQDN(또는 IP), HTTPS 포트 번호, SSO Username, Password 정보를 입력한다.
3-3. 리소스 설정 - Active Node
(1) 활성 노드에 대한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3-4. 리소스 설정 - Passive Node
(1) vCenter HA 구성 > 리소스 설정 > 수동 노드 정보에서 편집을 눌러 수동 노드에 대한 정보를 설정한다.
(2) 수동 노드 VM의 VM 이름을 지정한다.
(3) 수동 VM이 배포될 계산 리소스를 지정한다.
(4) 수동 노드가 배포될 스토리지를 선택한다.
(6) 수동 노드의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지정한다. 이후 모든 정보를 확인하고 배포를 완료한다.
3-5. 리소스 설정 - Witness Node
(1) 수동 노드와 마찬가지로 감시 노드도 설정을 완료해준다.
(2) 리소스 설정을 완료하면 하단의 "다음"을 눌러 계속 진행한다.
3-6. Active, Passive, Witness 노드에 대한 IP 주소 설정
(1) 각 노드에 대한 IP 주소 정보를 입력하고 하단 "완료" 버튼을 클릭한다.
(2) 위와 같이 vCenter HA 클러스터 배포 작업이 시작된다.
3-7. vCenter HA 구성 완료 후 작업
(1) vCenter VM에 대한 Passive, Witness 노드 구성이 완료되었다.
(2) Passive, Witness 노드 생성 후 Console 상태
4. vCenter VM Fail-Over 테스트
4-1. 두 가지 페일 오버 유형 지원 : 자동 페일 오버 테스트
(1) Active 노드가 실패하는 경우 자동으로 Passive 노드가 Active 노드로 승격된다.
(2) 테스트를 위해 Nested 환경에서 돌고 있는 vCenter VM을 종료했다.
(3) 현재 VM이 종료되었지만 vCenter CLI에 로그인 가능하고 vSphere-UI 서비스가 올라오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 패시브 VM이 정상적으로 부팅된다.
(5) vCenter에 위와 같이 접속 가능하고, vCenter HA 클러스터 로그를 보면 기존 Active 노드와 연결할 수 없다는 메시지가 확인되고 상태가 Active에서 Passive, 기존 Passive는 Active로 변경되었다.
4-2. 두 가지 페일 오버 유형 지원 : 수동 페일 오버 테스트
(1) vCenter > 구성 > vCenter HA 클러스터 메뉴에서 Passive 노드가 Active 노드의 역할을 가져갈 수 있도록 설정 가능하다.
(2) 수동 페일오버 테스트를 위해 4-1 당시 종료했던 기존 vCenter VM을 재기동한다.
(3) 재기동된 기존 VM의 현재 콘솔 상태
- 해당 VM 기준으로는 정상적으로 모든 VM 서비스가 올라오지 못한 상태
(4) 현재 Passive 노드 (테스트 이전 Active 노드) 통신할 수 없다는 메시지가 더 이상 확인되지 않고 해당 VM 상태가 Up 상태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 경고 Alert를 확인해 보면, Active 노드가 정상 실행 중이고 Passive 노드가 전원이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온 상태이므로 자동 페일 오버를 수행할 수 없고 수동 페일 오버만 진행 가능한 상태다.
(6) 이유는 모르겠지만, (5) 메시지는 시간이 경과하면 위와 같이 사라지게 된다.
(7) 수동 페일 오버 진행.
- 수동 페일 오버가 진행되면서 vCenter와 연결이 잠시 끊기게 된다. (vCenter 관련 서비스인 vsphere-ui 서비스도 Stopped 되었다가 Running 상태로 재변경된다.)
(8) 4-1 테스트 이후 Active 노드였던(초기 Passive VM) VM이 재기동되고 있다.
(9) 기존 메인 vCenter VM의 vCenter 부팅이 완료됐다.
(10) 수동 페일 오버가 완료되었고 vCenter 서비스가 재시작된 상태이다. 다시 vCenter HA 클러스터 확인 시 기존 Passive 노드가 Active 노드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rivate & Public Cloud > VMware vSphe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Xi 호스트 H/W 호환성 조사 (1) | 2025.04.29 |
---|---|
ESXi 호스트 인증서 유효기간 변경, vCenter 인증서 갱신(Data Encipherment, sms_self_signed 추가 갱신), Trusted Root, 백업 인증서 삭제 (0) | 2025.04.29 |
vSS, vDS 간 MGMT VMKernel Migration (0) | 2025.04.24 |
vCenter License Service 비활성화 시 (0) | 2025.04.23 |
[vSphere] - vCenter Patch & Upgrade(GUI) (0) | 2025.04.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