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S, vDS 간 MGMT VMKernel Migration
1. 기존 vSwitch0(vSS) 환경
1-1. vSwitch0
(1) ESXi 호스트의 관리 네트워크인 MGMT 포트 그룹은 현재 표준 가상 스위치 위치하고 있다.
(2) MGMT 전용 vDS를 생성한 후 표준 스위치에 존재하는 MGMT 포트 그룹을 생성한 vDS로 마이그레이션한다.
(3) 구성 후 Migration 과정에서 Down-time이 발생하는지 확인 필요
2. vDS 생성
2-1. MGMT 전용 vDS 생성
(1) 새로운 vDS를 생성한다.
(2) 생성하는 과정에서 ESXi 호스트 버전보다 낮게 설정해 줘야 한다.
(vDS 버전이 호스트보다 높으면 vDS 버전보다 높은 호스트들은 vDS에 Join 할 수 없다. vSphere EVC 정책과 유사)
ESXi 호스트 FQDN / Version | 분산 스위치 구성 버전 | 분산 스위치 JOIN 가능 여부 |
jun-esxi01.dt.local / 8.0U1 | 7.0.0 | O |
jun-esxi02.dt.local / 8.0U1 | 7.0.0 | O |
jun-esxi03.dt.local / 7.0U3n | 7.0.0 | O |
jun-esxi04.dt.local / 7.0U3g | 7.0.0 | O |
(3) 만약 분산 스위치 구성이 8.0x 이상이었다면 esxi03, 04 호스트는 분산 스위치에 Join 할 수 없다.
2-2. vDS MGMT Port Group(PG) 생성 : PG(jun-MGMT)
(1) vDS에 jun-MGMT 포트 그룹을 생성하고 기존 VLAN 대역을 맞춰준다.
3. 기존 호스트의 vSS에 매핑된 vmnic 할당 해제
3-1. ESXi01 호스트 기준 - vSS에 매핑된 VMNIC0 해제 이전
(1) vmnic0, vmnic1이 모두 표준 스위치의 nic으로 매핑되어 있다.
3-2. ESXi01 호스트 기준 - vSS에 매핑된 VMNIC0 해제 이후
(1) VMNIC1을 VDS에 할당하기 위해 할당되지 않은 어댑터로 빼둔다.
(2) VMNIC0, VMNIC1번 모두 할당에서 제외시키면 위와 같이 vCenter와 연결이 끊어져버리기 때문에 변경 사항이 롤백된다.
(3) 표준 스위치에서 vmnic 포트를 빼버리면 물리 업링크 이중화 손실 경고가 발생한다. (표준 스위치, 분산 스위치 모두 vmnic을 하나라도 빼는 순간 이중화 손실 경고가 발생하게 된다.)
(4) 현재 테스트 환경의 호스트는 모두 4대이므로 나머지 호스트들도 모두 vmnic0 포트 할당을 해제한다.
4. vDS에 호스트 추가 후 포트 그룹으로 VMkernel Migration 진행 (vSS → vDS)
4-1. 작업 이전, vDS에 포트 그룹 추가
(1) 호스트를 vDS에 할당하기 전에 포트 그룹을 미리 설정해 놓는다.
(2) 설정 과정에서 표준 스위치 MGMT 포트 그룹에 존재하던 VLAN 정보를 동일하게 설정해준다.
4-2. vDS에 호스트를 모두 Join / VMkernel 마이그레이션 진행
(1) 새로 생성한 vDS에 테스트할 호스트를 모두 추가한다.
(2) vmnic0 포트 할당을 해제했으므로 vDS에 vmnic을 업링크 1번으로 매핑시킨다.
(3) vDS에 vSS에 있던 VMkernel을 할당하기 위해 관리 네트워크 대역의 VMKernel인 vmk0을 선택하고 오른쪽 "포트 그룹 할당"을 누른다.
(4) 기존 표준 스위치에 각 호스트별로 존재하던 jun-MGMT 포트 그룹의 vmk0번을 지정한다. 그러면 위와 같이 기존 정보가 모두 표시된다.
(5) 포트 그룹 할당을 누르면 위와 같이 페이지가 나타나는데, 방금 생성한 vDS의 포트 그룹으로 vmk0을 마이그레이션한다는 내용이다. 우측 작업에서 [할당]까지 지정해줘야 작업이 완료된다.
(6) VMkernel 마이그레이션 간 ICMP Ping 수행 시 Ping 전송 간 다운타임은 발생하지 않았다.
4-4. 남은 vmnic까지 vDS로 할당
(1) 현재 남은 VMNIC도 분산 스위치의 업링크로 사용하기 위해 표준 스위치에 존재하던 vmnic1의 할당을 해제시킨다.
(2) 이후 나머지 호스트들도 위와 같은 작업 진행
(3) 이후 이전 vDS의 호스트 추가 및 관리 > 호스트 네트워킹 관리로 접속한다.
(4) 이후 모든 호스트의 업링크를 끌어오기 위해 모든 호스트를 선택한다.
(5) 할당을 해제했던 vmnic1을 해당 vDS의 업링크 2번으로 할당한다.
(6) 업링크 1, 2에 모두 vmnic을 할당하여 이중화가 완료되었다.
5. vDS → vSS : VMKernel 마이그레이션
(1) 분산 스위치의 VMKernel을 표준 스위치(vSS) 포트 그룹으로 마이그레이션
(2) 이전 작업과 비교하면 역과정이지만 약간 다른 점이 존재한다.
(3) 분산 스위치로 VMkernel 마이그레이션 시 미리 분산 스위치에 PG를 생성하고 작업했지만, 표준 스위치로 마이그레이션하는 경우 마이그레이션 하는 과정에서 바로 포트 그룹을 만들고 그 포트 그룹에 VMkernel을 할당한다.
5-1. 분산 스위치 포트 그룹에 존재하던 업링크 할당 해제
(1) 분산 스위치 > 호스트 추가 및 관리 > 호스트 네트워킹 편집에서 모든 호스트를 지정한다.
(2) vmnic1을 표준 스위치로 할당하기 위해 기존 업링크에서 매핑을 해제시키고 모든 설정을 완료한다.
(3) 그러면 업링크 2번에 있던 호스트들의 vmnic이 모두 빠지게 된다.
(4) 이번 과정을 테스트하기 위해 1번 호스트만 진행을 했다.
(5) ESXi-01번 호스트의 표준 스위치에서 vmnic을 할당해준다.
(6) 분산 스위치에서 할당 해제한 vmnic1번을 해당 호스트의 표준 스위치 NIC 어댑터로 매핑한다.
(7) 위와 같이 할당이 완료되고 vDS에 있던 VMKernel을 vDS로 마이그레이션만 하면 된다.
(8) VMKernel 어댑터 마이그레이션을 선택한다.
(9) 기존 VMKernel 어댑터를 표준 스위치로 마이그레이션하는 페이지다.
(10) jun-MGMT-vDS에 존재하던 jun-MGMT-PG 포트 그룹의 vmk0을 표준 스위치로 마이그레이션 할 수 있게 된다.
(11) 위에서 기재한 것처럼 표준 스위치로 마이그레이션 시 포트 그룹을 해당 과정에서 바로 생성하고 그 포트 그룹에 VMK를 마이그레이션하는 형태이다. 위의 정보까지 입력하고 구성을 완료한다.
(12) 마찬가지로 마이그레이션 과정에서 ICMP ping 테스트를 해보았으나 ping 전송 간 별도의 다운타임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