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VMware(Private Cloud)
-
VMware vSAN 서비스 : 고급 옵션(개체 복구 타이머, 사이트 읽기 위치, Thin Swap, 게스트 트리밍 / 매핑 해제, 자동 재조정) 1. 개체 복구 타이머1-1. 정의 및 특징 (1) 개체 복구 타이머 옵션의 경우, vSAN 클러스터 내부 호스트가 실패 상태 또는 유지 보수 모드 상태일 때 다른 호스트로 데이터들을 넘겨줘야 하는 작업(vSAN 개체 복구 작업)을 시작하기 전 대기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2) 호스트 실패 상태 또는 유지보수 모드이더라도 다른 호스트로 개체 복구 작업을 시도하는 것 자체만으로 I/O 부하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 부분을 방지하기 위해 존재하는 옵션이다.- 단순 실패, 유지보수 모드이더라도 호스트가 짧은 시간 내에 복구될 수 있다면 개체 복구 작업이 의미가 없기 때문 1-2. 적용 가능 시간 (1) Default 값은 60분이고 최소 0분 ~ 최대 4294967295분까지 설정 가능하다.- 일(day) ..
-
ESXi 호스트 H/W 호환성 조사 (1) 호환성 조사 체크리스트- 서버 벤더 - CPU- NIC(Network Interface Card)- HBA(Host Bus Adapter)- RAID Controller- (vSAN 사용 시) vSAN RAID Controller, Disk- BIOS- UEFI Mode Enabled 여부 확인 (2) 호스트를 신규로 설치하거나 업그레이드 하기 전에 해당 물리 서버와 배포할 ESXi 버전 간 H/W 호환성이 맞는지 체크해 줘야 한다.- ESXi는 모든 하드웨어와 호환 가능한 소프트웨어가 아니므로 호환성 체크가 필요한데, 물리 서버의 각 구성 요소(RAID Controller, NIC, 디스크 등)에 대한 정확한 드라이버와 펌웨어가 필요하다. (3) 만약 이 부분을 무시한다면 추후 ESXi 하이퍼바..
-
ESXi 호스트 인증서 유효기간 변경, vCenter 인증서 갱신(Data Encipherment, sms_self_signed 추가 갱신), Trusted Root, 백업 인증서 삭제 1. ESXi 호스트 인증서 유효 기간 변경 (vpxd.certmgmt.certs.daysValid)1-1. 기본 5년(1825 day) → 10년(3650 day)으로 변경(1) vCenter 구성 > Advanced Settings > vpxd.certmgmt.certs.daysValid (2) 해당 파라미터 값을 변경함으로써 호스트 인증서 유효 기간을 변경할 수 있다. (3) 1825 → 3650일로 변경 (4) 호스트 인증서 갱신 진행 (5) 10년 단위로 호스트 인증서 유효 기간이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Certificate Manager 8번 옵션 사용 시 갱신되지 않는 Data-Encipherment, SMS(sms_self_signed)(1) Certifi..
-
vCenter HA 개요, 구성 방법 1. vCenter HA1-1. vCenter HA 정의 및 특징(1) vCenter에 가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 (2) 구성 시 Active vCenter가 Down 되면 Passive vCenter가 Active vCenter로 동작하게 된다. (3) vCenter HA(VCHA) 구성 시 Active, Passtive, Witness 노드로 구성된 3노드 클러스터가 생성된다. 1-2. VCHA 구성 요구조건(1) Windows 기반 vCenter Server에서는 작동하지 않으며, vCenter Server Appliance(VCSA)에서만 작동한다. (2) ESXi 호스트의 경우 6.0 이상, vCenter는 6.5 이상이어야 한다. (3) 배포되는 vCenter는 Small 이상부터 사..
-
vSS, vDS 간 MGMT VMKernel Migration 1. 기존 vSwitch0(vSS) 환경1-1. vSwitch0(1) ESXi 호스트의 관리 네트워크인 MGMT 포트 그룹은 현재 표준 가상 스위치 위치하고 있다. (2) MGMT 전용 vDS를 생성한 후 표준 스위치에 존재하는 MGMT 포트 그룹을 생성한 vDS로 마이그레이션한다. (3) 구성 후 Migration 과정에서 Down-time이 발생하는지 확인 필요 2. vDS 생성 2-1. MGMT 전용 vDS 생성(1) 새로운 vDS를 생성한다. (2) 생성하는 과정에서 ESXi 호스트 버전보다 낮게 설정해 줘야 한다.(vDS 버전이 호스트보다 높으면 vDS 버전보다 높은 호스트들은 vDS에 Join 할 수 없다. vSphere EVC 정책과 유사) ESXi 호스트 FQDN / Vers..
-
vCenter License Service 비활성화 시 (1) vCenter GUI에서 License Service를 위와 같이 비활성화하는 경우 (2) GUI에서 라이센스를 할당하는 작업부터 시작해서 ESXi 호스트, vCenter에 등록된 라이센스를 찾을 수 없다. (3) 다시 License Service를 재시작했다. (4) 이후 vCenter 라이센스 탭에서 확인해 보면 보유한 라이센스 현황과 호스트, vCenter에 Key-in된 라이센스를 확인할 수 있다.
Network
-
네트워크 기초 이론 (11) + PNET LAB 2024-07-16(TUE) 1. LAB : Network Configuration Topology(1) 위의 LAB Topology에 대해 금일 기준 실습 진행
-
네트워크 기초 이론 (10) - Switching(EtherChannel(LACP, PAgP)), Routing 기본 개념 2024-07-11(THU) . 01. 전일 내용 정리 - Data Delivery (1) 라우팅 순위 : 물리적 인터페이스가 최우선순위(1순위), static route - 2순위(3) 서브넷 마스크의 길이가 길면(더 작은 네트워크가 형성된다)? 반대로 와일드 카드 마스크가 짧다.(3) 와일드 카드 마스크는 호스트를 표시해준다.classless - 서브넷 마스크의 길이를 벗어나서 처리되는 IP주소처리기법classful - 클래스 구분에 따라 고정된 서브넷 마스크의 길이로 IP주소를 처리하는기법 02. 전일 내용 정리 - STP(Spanning Tree Protocol)(1) 정의 : STP 프로토콜은 스위치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이라고 볼 수 있다. (2) 왜 사용하는데? : 스위치 네트워크에서 ..
-
네트워크 기초 이론 (9) - Switching(STP, RSTP) 2024-07-11(THU) 01. 전일 내용 : VLAN Creation Command(1) vlan 20 (global configuration mode)- VLAN 생성 (2) name student (global configuration mode)- VLAN 이름 지정 (3) int e0/1 (global configuration mode)- 연관된 인터페이스 지정 (4) switchport mode access (interface configuration mode)- 선택된 인터페이스를 Access mode로 설정한다.(Access mode의 경우 단일 VLAN에 속하는 포트를 정의할 수 있다.) (5) switchport access vlan 20 (interface configuratio..
-
네트워크 기초 이론 (8) - Switching(VLAN) 2024-07-10(WED) 01. 전일 내용(1) Data Delivery(2) L2 Switch 기본 개념(3) ACL(Access Control List)(4) VLAN(Virtual LAN) 02. 금일 내용(1) L2 Switch(2) VLAN LAB(3) Inter-VLAN(4) STP(Spanning-Tree Protocol) 1. VLAN 생성 1-1. VLAN 생성 커맨드(1) VLAN의 세부 정보는 vlan.dat 파일에 저장되고 Global Configuration Mode에서 해당 커맨드를 줄 수 있다.수행하는 작업장비의 IOS 커맨드Global Configuration Mode로 진입한다.Switch# configure terminal(conf t)유효한 ID 번호로 ..
-
네트워크 기초 이론 (7) - Switching(VLAN) 2024-07-09(TUE) 1. OSI 7 Layer 정리1-1. OSI 7 Layer- 각 계층에 대한 주요 핵심 내용인 아래와 같은 내용을 알고 있어야 한다. 네트워크뿐만이 아닌, 보안, 가상화, 서버, 클라우드 등 각 핵심 내용을 파트를 아래와 같이 나누어 정리해 두면 좋다. (1) 각 계층의 핵심 내용(2) 사용되는 장비(3) 식별자 (4) PDU(5) Protocol 1-2. 등장 배경(1) 각 업체마다 설계한 네트워크 인프라 및 구조가 모두 상이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독점, 가격 상승 등 부정적인 영향이 컸기 때문에 새로운 표준이 필요했다. 1-3. IP 주소와 포트 번호(1) IP 주소 4바이트 (32비트)(2) 포트 번호 2바이트 (16비트)(3) 포트 번호는 애플리케이션과 ..
-
네트워크 기초 이론 - TCP/IP Basic (6) 2024-07-08(MON) (1) 기술 면접 과정에서는 전반적인 이론, 프로젝트 간 Trouble shooting, 협업 등에 대한 질문이 진행된다. 1. Layer 1 Devices(1) NIC(Network Interface Card) (2) Ethernet - LAN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3) Hub, Repeater 등이 물리적 장치로 존재한다. 2. Layer 2 Devices(1) 2계층 장비로는 Bridge, Switch 등 장비가 존재한다. (2) Mac Table- 스위치나 라우터 같은 네트워크 장비가 연결된 각 디바이스의 MAC 주소를 저장하는 테이블을 의미한다. 이 테이블을 통해 장비는 특정 데이터 패킷을 어디로 보내야 할지 알 수 있게..
Back-end
-
[MySQL] - ERROR 1045 (28000): Access denied for user 'root'@'localhost' (using password: YES) / --host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AWS 서비스 중 하나인 AWS RDS를 사용해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AWS EC2 환경에서 접속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와, 오류의 원인 이를 해결한 방법을 기록해 두고자 한다. 1. 문제 원인(1) AWS EC2 환경에서 AWS RDS에 접속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커맨드를 주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했다.mysql -u [RDS 생성 시 지정한 사용자명] -p -h [RDS 접속 엔드포인트 주소] (2) RDS 생성 시 지정한 유저명, 비밀번호를 정확하게 입력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위와 같은 접속 오류 "ERROR 1045 (28000): Access denied for user ~ (using password: YES)"를 확인할 수 있었다. ..
-
[AWS S3, Spring] - AmazonS3Exception : The bucket does not allow ACLs 원인 & 문제 해결 프로젝트 진행 도중 발생한 문제에 대해 해결한 과정을 적어두고자 한다. 현재 만드는 서비스에서 회원가입 진행 시, 프로필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업로드할 수 있는 요구사항이 있었는데 이를 위해 AWS S3 Bucket에 사진 파일을 업로드하는 과정을 테스트하는 도중 위와 같은 AmazonS3Exception 예외가 발생했다. 이 부분에 대한 원인, 해결했던 방법을 기록해 두고자 한다. 1. 문제 원인 (1) 현재 버킷 소유자만 Bucket Access Control List(ACL)에 대한 Read, Write(읽기, 쓰기) 권한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마 이 부분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2. 해결 과정(1) 객체 소유권에서 [편집]으로 들어가서 해당 부분을 수..
-
[Spring, H2] - 스프링에서 DB 테스트를 위한 H2 DB Configuration 1. H2 DB 1-1. H2 DB (1) H2 데이터베이스란 자바로 작성된 인메모리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다. 자바 애플리케이션에 임베디드하거나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에서 구동시킬 수 있다. (2) 기본적으로 스프링 부트를 사용하는 경우 테스팅 환경에서 인메모리 DB 환경을 제공한다. (3) 인메모리 특성을 가지는만큼 서버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사용됐던 데이터는 모두 사라지게 된다.(휘발성) (4) 개발 단계에서 비즈니스 로직의 수행 결과를 빠르게 확인해 보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2. H2 DB 사용을 위한 의존성 설정 2-1. build.gradle 기준 의존성 추가 (1) 해당 DB를 사용하기 위해 build.gradle 파일에 다음과 같은 H2 Database Depende..
Popular Posts
-
[머신 러닝] - 경사 하강법(Gradient descent) 금일(2023-03-13) 학부에서 머신러닝 수업 중, 기계 학습의 핵심이라고 언급해 주셨던 "경사 하강법(Gradient descent)"에 대해 추가적인 스터디가 필요했고, 이 부분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한 글입니다. 1. 경사 하강법(Gradient descent)의 정의 1-1. 정의 - 경사 하강법(Gradient descent)은, 함수의 값이 낮아지는 방향으로 각 독립변수들의 값을 변형시키면서 함수가 최솟값을 갖도록 하는 독립변수의 값을 탐색 방법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입력된 Parameter의 검증(Validation)이 필요할 때 사용됩니다. 1-2. 위키백과에서의 정의 - 경사 하강법(Gradient descent)은, 1차 근삿값 발견용 최적화 알고리즘으로써, 이 부분의 기본 개념은 함..
-
[6주 차] - XOR, XNOR 게이트, 논리 함수 간소화 과목명 : 논리회로 실습(Logic circuit practice) 수업일자 : 2022년 10월 04일 (화) 1. XOR 게이트(Exclusive OR Gate) 1-1. 정의와 특징 - XOR(Exclusive OR) 게이트는 베타적 OR 게이트 또는 배타적 논리합(Exclusive logical sum)이라고도 하며 1을 홀수 개 입력하면 1을 출력하고 짝수 개 입력하면 0을 출력합니다. - 두 개의 입력에 대해 입력값이 같으면 0, 다르면 1을 출력하게 됩니다. - 짝수 패리티(Even parity)를 구현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1-2. 2입력 XOR 게이트 1-3. 3입력 XOR 게이트 2. XNOR 게이트(Exclusive NOR Gate) 2-1. 정의와 특징 - XNOR 게이트(Excl..
-
[8주 차] - 디코더와 인코더(Decoder and Encoder) 과목명 : 논리회로 실습(Logic circuit practice) 수업일자 : 2022년 10월 18일 (화) 1. 디코더(Decoder) 1-1. 정의와 특징 1-2. Enable이 있는 2 x 4 NAND 디코더 - Enable이 0일 때 동작하고 출력도 Active-low일 때 동작하도록 NAND 회로로 설계한 디코더입니다. - 74139에는 2 x 4 디코더 2개가 들어있습니다. 1-3. 3 x 8 디코더 - 입력 3개와 출력 8개로 구성된 디코더입니다. - 입력에 따라 출력 8개 중 하나가 결정됩니다. - G1은 Active-high, G2(G2A, G2B)는 Active-low - 74138는 G1 = '1', G2A, G2B = '0'일 때 디코더가 동작합니다. - G1 = '0' 또는 G..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