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ware(Private Cloud)
-
vSS, vDS 간 MGMT VMKernel Migration
1. 기존 vSwitch0(vSS) 환경1-1. vSwitch0(1) ESXi 호스트의 관리 네트워크인 MGMT 포트 그룹은 현재 표준 가상 스위치 위치하고 있다. (2) MGMT 전용 vDS를 생성한 후 표준 스위치에 존재하는 MGMT 포트 그룹을 생성한 vDS로 마이그레이션한다. (3) 구성 후 Migration 과정에서 Down-time이 발생하는지 확인 필요 2. vDS 생성 2-1. MGMT 전용 vDS 생성(1) 새로운 vDS를 생성한다. (2) 생성하는 과정에서 ESXi 호스트 버전보다 낮게 설정해 줘야 한다.(vDS 버전이 호스트보다 높으면 vDS 버전보다 높은 호스트들은 vDS에 Join 할 수 없다. vSphere EVC 정책과 유사) ESXi 호스트 FQDN / Vers..
2025.04.24
-
vCenter License Service 비활성화 시
(1) vCenter GUI에서 License Service를 위와 같이 비활성화하는 경우 (2) GUI에서 라이센스를 할당하는 작업부터 시작해서 ESXi 호스트, vCenter에 등록된 라이센스를 찾을 수 없다. (3) 다시 License Service를 재시작했다. (4) 이후 vCenter 라이센스 탭에서 확인해 보면 보유한 라이센스 현황과 호스트, vCenter에 Key-in된 라이센스를 확인할 수 있다.
2025.04.23
-
[vSphere] - vCenter Patch & Upgrade(GUI)
1. vCenter Patch (GUI) : vCenter VAMI1-1. 패치 환경(1) 아래와 같이 vCenter 7.0U3r(24026615) → 7.0U3s(24201990)으로 패치 진행 테스트 1-2. vCenter가 설치된 ESXi 호스트 클라이언트로 접속해서 vCenter VM 데이터스토어에 patch FP iso 파일 업로드(1) 가상 시스템 설정 편집 > CD/DVD 마운트 부분에서 데이터스토어 ISO 파일을 선택하고 패치 FP iso 파일을 업로드한다. (2) 이후 마운트까지 완료한다. 1-3. vCenter 패치 이전 백업 구성(1) VAMI에서 백업 구성 정보를 위와 같이 입력한다. (2) 위와 같이 백업 데이터가 생성된다. (3) 백업 데이터의 경우 "백업 위치..
2025.04.15
-
[vSphere] - ESXi software vib & software profile(esxcli), ESXi 호스트 Patch & Upgrade(CLI, GUI)
(1) ESXi 호스트 Patch- ESXi 호스트의 보안 취약점, 버그, 성능 향상 및 업데이트 등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 이를 통해 최신 보안 취약점 문제를 해결하거나 운영 중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을 최소화한다. (2) ESXi 호스트 Upgrade- 호스트의 Major version을 업데이트하는 작업으로, 보통 ESXi의 새로운 기능 추가 및 개선, 특정 하드웨어 지원, 성능 향상을 위해 수행하는 작업이다. 1. ESXi VIB(VMware Installation Bundle) / Software Profile, Source Profile1-1. ESXi vib(1) VIB(VMware Installation Bundle)란, ESXi 호스트에서 드라이버, 패치, 추가 소프트..
2025.04.15
-
vCenter Log(로그) 디스크 용량 증설
1. vCenter 로그 디스크 용량 증설 1-1. vCenter 로그 디스크 마운트 위치 / 디스크 번호 확인(1) df -h 명령으로 로그 디스크 용량 사용률 확인이 가능하다. - 현재 12% 점유 중 (2) lsblk 명령으로 현재 로그 디스크가 어떤 영역에 마운트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lsblk : 리눅스에서 디스크, 파티션, LVM 등의 영역들을 트리 형태로 출력하는 커맨드 (3) lsscsi 명령으로 마운트되어 있는 디스크 영역의 번호를 확인한다.- 리눅스에서 SCSI 장치 리스트를 출력하는 커맨드 1-2. vCenter VM → 가상 시스템 편집에서 디스크 용량 증설(1) 용량 증설 전 vCenter VM에 대해 스냅샷이 없어야 한다.- 작업을 위해 vCenter VM 전원 종료 필..
2025.04.02
-
ESXi 호스트 & vCenter 인증서 확인 및 갱신(CLI, GUI 환경)
1. ESXi 호스트 인증서 확인 및 갱신 (GUI)1-1. ESXi 호스트 인증서란?(1) vCenter와 ESXi 호스트 간 통신을 암호화하고 상호 인증을 가능하도록 하는 인증서를 의미한다. (2) ESXi 호스트는 부팅 시 자체 서명을 통해 인증서를 자동 생성하거나, vCenter에 호스트를 Join 하게 되면 VMCA(vSphere Certificate Authority)에서 발급된 인증서를 받을 수 있게 된다. 1-2. 호스트 인증서 조회 (GUI, vSphere Web Client)(1) 호스트 > 구성 > 시스템 > 인증서에서 조회 가능 1-3. 호스트 인증서 조회(ESXi CLI)(1) 경로 : /etc/vmware/ssl(2) rui.crt- 공개 인증서 (3) rui.key-..
2025.03.31
Network
-
네트워크 기초 이론 (11) + PNET LAB
2024-07-16(TUE) 1. LAB : Network Configuration Topology(1) 위의 LAB Topology에 대해 금일 기준 실습 진행
2024.10.23
-
네트워크 기초 이론 (10) - Switching(EtherChannel(LACP, PAgP)), Routing 기본 개념
2024-07-11(THU) . 01. 전일 내용 정리 - Data Delivery (1) 라우팅 순위 : 물리적 인터페이스가 최우선순위(1순위), static route - 2순위(3) 서브넷 마스크의 길이가 길면(더 작은 네트워크가 형성된다)? 반대로 와일드 카드 마스크가 짧다.(3) 와일드 카드 마스크는 호스트를 표시해준다.classless - 서브넷 마스크의 길이를 벗어나서 처리되는 IP주소처리기법classful - 클래스 구분에 따라 고정된 서브넷 마스크의 길이로 IP주소를 처리하는기법 02. 전일 내용 정리 - STP(Spanning Tree Protocol)(1) 정의 : STP 프로토콜은 스위치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이라고 볼 수 있다. (2) 왜 사용하는데? : 스위치 네트워크에서 ..
2024.10.23
-
네트워크 기초 이론 (9) - Switching(STP, RSTP)
2024-07-11(THU) 01. 전일 내용 : VLAN Creation Command(1) vlan 20 (global configuration mode)- VLAN 생성 (2) name student (global configuration mode)- VLAN 이름 지정 (3) int e0/1 (global configuration mode)- 연관된 인터페이스 지정 (4) switchport mode access (interface configuration mode)- 선택된 인터페이스를 Access mode로 설정한다.(Access mode의 경우 단일 VLAN에 속하는 포트를 정의할 수 있다.) (5) switchport access vlan 20 (interface configuratio..
2024.10.01
-
네트워크 기초 이론 (8) - Switching(VLAN)
2024-07-10(WED) 01. 전일 내용(1) Data Delivery(2) L2 Switch 기본 개념(3) ACL(Access Control List)(4) VLAN(Virtual LAN) 02. 금일 내용(1) L2 Switch(2) VLAN LAB(3) Inter-VLAN(4) STP(Spanning-Tree Protocol) 1. VLAN 생성 1-1. VLAN 생성 커맨드(1) VLAN의 세부 정보는 vlan.dat 파일에 저장되고 Global Configuration Mode에서 해당 커맨드를 줄 수 있다.수행하는 작업장비의 IOS 커맨드Global Configuration Mode로 진입한다.Switch# configure terminal(conf t)유효한 ID 번호로 ..
2024.09.23
-
네트워크 기초 이론 (7) - Switching(VLAN)
2024-07-09(TUE) 1. OSI 7 Layer 정리1-1. OSI 7 Layer- 각 계층에 대한 주요 핵심 내용인 아래와 같은 내용을 알고 있어야 한다. 네트워크뿐만이 아닌, 보안, 가상화, 서버, 클라우드 등 각 핵심 내용을 파트를 아래와 같이 나누어 정리해 두면 좋다. (1) 각 계층의 핵심 내용(2) 사용되는 장비(3) 식별자 (4) PDU(5) Protocol 1-2. 등장 배경(1) 각 업체마다 설계한 네트워크 인프라 및 구조가 모두 상이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독점, 가격 상승 등 부정적인 영향이 컸기 때문에 새로운 표준이 필요했다. 1-3. IP 주소와 포트 번호(1) IP 주소 4바이트 (32비트)(2) 포트 번호 2바이트 (16비트)(3) 포트 번호는 애플리케이션과 ..
2024.09.02
-
네트워크 기초 이론 - TCP/IP Basic (6)
2024-07-08(MON) (1) 기술 면접 과정에서는 전반적인 이론, 프로젝트 간 Trouble shooting, 협업 등에 대한 질문이 진행된다. 1. Layer 1 Devices(1) NIC(Network Interface Card) (2) Ethernet - LAN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3) Hub, Repeater 등이 물리적 장치로 존재한다. 2. Layer 2 Devices(1) 2계층 장비로는 Bridge, Switch 등 장비가 존재한다. (2) Mac Table- 스위치나 라우터 같은 네트워크 장비가 연결된 각 디바이스의 MAC 주소를 저장하는 테이블을 의미한다. 이 테이블을 통해 장비는 특정 데이터 패킷을 어디로 보내야 할지 알 수 있게..
2024.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