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엔드(Back-End)/Java20 [Java] - 연산자(Operator), 반복문(for, while, do-while) Java - 연산자(Operator), 반복문(for, while, do-while) ※ 해당 Java 카테고리는 Java 언어를 공부한 부분을 정리하는 공간으로 이번 포스팅이 과거 학부 Java 전공수업과 겹쳤던 주제였으며 아래 링크에서 따로 보실 수 있도록 해 두었습니다. - 이번 포스팅의 해당 파트는 아래 링크로 바로 이동하셔서 확인하실 수 있는 포스팅이며 제 블로그에서 해당 주제에 대해 정리했던 내용입니다. - 학부 전공 수업 때 수강했던 내용과 동일한 부분이라 제 블로그의 링크를 첨부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URL : https://twojun-space.tistory.com/45 [4주 차] - 연산자(Operator)와 반복문(for, while, do-while) 과목명 : 객체지향 프로그.. 2023. 1. 10. [Java] - printf() 메서드를 이용한 출력, Scanner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기 이번 포스팅에선 Java의 printf() 메서드를 이용하여 형식화된 출력, Scanner 클래스를 이용해 사용자로부터 값을 입력받는 부분에 대해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형식화된 출력, printf() 메서드 1-1. 정의와 여러 가지 특징 - 앞서 사용된 println() 메서드와 달리, 사용자가 지정한 데이터의 출력 형식을 지정하여 좀 더 정교하게 데이터를 출력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출력 메서드입니다. - println() 메서드는 사용하기 편리하나 아래와 같이 출력 형식을 지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1) 실수의 경우 소수점 자릿수 표현이 불가능하다. (2) 수의 경우 10진수 체계로만 표현 가능하다. 위의 문제들은, printf() 메서드를 이용해 데이터의 출력 형식을 지정함으.. 2022. 10. 5. [Java] - 여러 가지 기본형 타입의 변환 이번 포스팅에선 Java의 여러 가지 기본형 자료형 타입들의 변환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기본형 타입 변환 - 기본적으로 프로그래밍을 할 때, Java에선 기본형 타입 간의 변환 방법은 자주 쓰이는 기법으로 아래와 같은 케이스들을 잘 학습해 둘 수 있도록 합니다. 2. 문자(Character) -> 수(Number) 변환 - ex) '9' -> 9 - 문자 '9'에서 '0'을 빼준다. // 문자 > 수 변환 char charInt = '9'; System.out.println(charInt - '0'); // 9 3. 수(Number) -> 문자열(String) 변환 - ex) 10 > "10" - 수 10에서 빈 문자열(Empty string) ""을 더해준다. // 수 > 문자열 변환 S.. 2022. 9. 3. [Java] - 문자형, 문자열 자료형의 정의와 여러 가지 특징 이번 포스팅에선 Java의 문자형(Character), 문자열(String) 자료형에 대해 학습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문자형(Character) 자료형의 정의와 여러 가지 특징 - '1', 'a', '가'와 같이 한 개로 이루어진 문자에 대한 데이터 타입을 문자(Character) 자료형이라고 합니다. 1-1. 문자 자료형의 여러 가지 특징 - 문자 자료형의 경우 Java는 작은 따옴표(')로 묶어서 표현합니다. - char 자료형을 명시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문법 : char 변수명 = '문자열'; // 일반적인 문자형 자료형 char ch1 = '1'; System.out.println(ch1); // 1 - 문자 자료형의 경우 작은 따옴표 내부에 공백을 넣는 빈 문자(Empty char.. 2022. 9. 3. [Java] - 상수(Constant)와 리터럴(Literal), 리터럴의 접미사(Suffix) 이번 시간엔 Java의 상수(Constant), 리터럴(Literal), 리터럴의 접미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상수(Constant), 리터럴(Literal) 1-1. 상수(Constant)의 정의와 특징 -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상수(Constant)의 정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값(데이터)이 고정되어 변할 수 없는 메모리 공간을 의미하며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지게 됩니다. - 상수는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를 해 주어야 합니다. - 변수의 자료형 타입 옆에 final이라는 키워드를 붙입니다. public class Constant_Literal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상수 A 선언 final int A = 100; System... 2022. 8. 29. [Java] - 변수의 기본형 타입(Primitive Type), 참조형 타입(Reference Type) 이번 시간에는 Java에서 변수의 기본형 타입(Primitive Type), 참조형 타입(Reference Type)이 무엇인지와, 기본형 타입의 여러 가지 종류, 기본형 타입의 데이터 표현 범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기본형 타입(Primitive Type)과 참조형 타입(Reference Type)의 정의 1-1. 기본형 타입(Primitive Type) - Java에서 변수의 기본형 타입은 총 8가지가 존재하며 기본형 타입의 변수는 실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변수 타입입니다. 기본형 타입은 원시 타입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 기본형의 여러 가지 타입은 Java의 기본적인 자료형(Data type) 체계에 의해 분류되며,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1-2. 참.. 2022. 8. 28.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