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ivate & Public Cloud/Network, Security11

네트워크 기초 이론 - TCP/IP Basic (5) 2024-07-05(FRI)   1. Routing Settings1-1. Procedure to Configure Router(1) 장비 연결(Power on, 콘솔 연결, 터미널 애뮬레이터 실행)(2) 초기 설정 (en 커맨드로 Privilege mode로 진입)(3) 기본 설정 (Host name 설정 - 라우터 이름 설정)(4) 인터페이스 설정 (인터페이스 선택 및 IP 주소 설정)(5) 라우팅 프로토콜 적용(6) 설정 저장(7) 반영 사항 테스트    1-2. User mode (User EXEC Mode)(1) 스위치, 라우터에 초기 접속 시 처음으로 들어가는 모드로써 기본적인 확인 작업 용도 등을 수행하는 목적으로 제한된 커맨드들만 사용할 수 있다.    > etc commands ...  .. 2024. 8. 26.
네트워크 기초 이론 - TCP/IP Basic (4) 2024-07-04(THU)  1.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1) ip 주소로부터 L2의 MAC 주소를 획득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2) 왜 필요할까?- Ethernet frame을 생성(구성)하기 위해 필요하다.  2.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1) IP 프로토콜의 기능이 부족한 부분(오류 발생 시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음)을 보완하기 위해 설계된 프로토콜 (2) 따라서 Error Reporting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토콜이다. (3) ICMP를 사용하는 Sample : ping, tracert(traceroute)  3.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1) 특정 그룹.. 2024. 8. 23.
네트워크 기초 이론 - TCP/IP Basic (3) 2024-07-03(WED)  1. Connection이란 무엇인가?Connection이란 컴퓨터 네트워킹에서 특정 장비들 사이에 서로 연결된 상태를 말하며 데이터 통신을 위해 물리적, 논리적으로 설정된 상태를 의미한다. - 물리적인 연결과, 논리적인 연결이란?Physical Connection : 물리적인 장비인 하드웨어를 통한 연결을 의미한다.Logical Connection : 물리적인 연결이 아닌, 가상의 통로로 연결된 것을 의미하며 이 가상 통로의 실체는 데이터나 프로토콜이며 이를 통해 각 장비가 서로 논리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말한다.  Example) 웹 서비스가 이루어지기 위해 필요한 연결의 종류들?- 웹의 정보를 운반하는 주체? →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 2024. 8. 12.
네트워크 기초 이론 - TCP/IP Basic (2) 2024-07-02(TUE) 1. 계층 구조에 대해 설명하시오.- 각 계층은 기능이 정의되어 있다.- 하위 계층은 상위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Provide service)- 하위 계층에서 발생된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상위 계층에서 해당 문제에 대한 책임을 진다.  2. OSI 7 Layer의 각 계층별 명칭은?- Application Layer- Presentation Layer- Session Layer- Transport Layer- Network Layer- Data Link Layer- Physical Layer   3. 2, 3, 4 Layer의 PDU 이름?L2 - Frame, L3 - Packet, L4 - Segment     1. Connection Scheme(1.. 2024. 7. 27.
네트워크 기초 이론 - TCP/IP Basic (1) 2024-07-01(MON)1. Layered Architecture1-1. Layered Architecture(1) 컴퓨터, 스마트폰, 스위치, 라우터(네트워크 장비)들의 동작방식은  Layered Architecture로 설명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디바이스)든 계층 구조의 경우 해당 구성 요소의 동작 모델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계층 구조는 컴퓨터, 라우터, 교환 시스템 등 정보통신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기술하기 위한 모델이다. - 각 계층은 기능이 정의되어 있다. - 하위 계층은 상위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Provide service) - 하위 계층에서 발생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상위 계층에서 해당 문제에 대한 책임을 진다.  (2) 각 계층별로 수행해야 .. 2024. 7.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