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 수업86 [12주 차] - 래치와 플립플롭 (Latch and Flipflop) 과목명 : 논리회로 실습(Logic circuit practice) 수업일자 : 2022년 11월 15일 (화) 1. Latch(래치) 회로 1-1. SR Latch - NAND 게이트 래치 또는 NOR 게이트 래치가 존재합니다. - SR 래치 회로에는 S(Set)와 R(Reset)로 표시된 입력 2개와 Q, Q'로 표시된 출력 2개가 존재하며 Q, Q'는 서로 보수가 되어야 정상 상태가 됩니다. (1) NOR 래치 (2) NAND 래치 2. 클록형 래치 2-1. NOR를 이용한 클록형 SR 래치 - CP가 1일 때 동작합니다. 2-2. 클록형 D 래치 - SR 래치에서 원하지 않는 상태(S, R = 1)를 제거하는 방법을 고안하던 중 클록형 D 래치가 구현되었습니다. - D 래치는 입력된 데이터가 그대.. 2022. 11. 16. [12주 차] - 증폭기의 주파수 응답 특성 과목명 : 전자회로 설계(Electronic circuit design) 수업일자 : 2022년 11월 15일 (화) 1. 증폭기의 주파수 응답 특성 1-1. 정의 - 실제 증폭기의 경우 결합된 커패시터, 부하 커패시터, 트랜지스터 내부에 기생하는 정전 용량 성분들에 의해 영향을 받고, 신호의 주파수의 형태에 따라 출력 결과가 달라지는 주파수 응답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1-2. 보드 선도(Bode plot) - 주파수에 따른 증폭기 이득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2. 각 대역의 응답 특성 2-1. 중대역(Mid-band frequency) 응답 특성 2-2. 저주파(Low frequency) 응답 특성 2-3. 고주파(High frequency) 응답 특성 2-4. 대역폭(Bandwidth) 2-.. 2022. 11. 15. [10주 차] - 외부 기억 장치 (2), I/O Module 과목명 : 컴퓨터 구조(Computer Organization & Architecture) 수업일자 : 2022년 11월 03일 (목) (A) 자기 디스크 - 자기적 읽기 쓰기 매커니즘 - 데이터 조직과 형식화 - 물리적 특성들 - 디스크 성능 파리미터 (B) RAID - RAID Level 0 - RAID Level 1 - RAID Level 2 - RAID Level 3 - RAID Level 4 - RAID Level 5 - RAID Level 6 (C) 광 기억장치 (D) 자기 테이프 1.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1-1. RAID의 개발 배경 (1) RAID(Redund.. 2022. 11. 15. [12주 차] - 스레드 동기화, UDP 서버 - 클라이언트의 구조, 브로드캐스팅 과목명 : 컴퓨터 통신(Computer communication) 수업일자 : 2022년 11월 14일 (월) 1. 스레드 핸들(Thread handle) - 윈도우에서 스레드를 생성할 때는 CreateThread() API 함수를 사용합니다. CreateThread() 함수는 스레드를 생성한 후 핸들을 리턴하며 스레드 핸들은 파일 디스크립터 또는 소켓 디스크립터와 비슷한 개념으로 운영체제의 스레드 관련 데이터 구조체를 간접적으로 참조하는 매개체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스레드를 제어할 수 있게 됩니다. 2. 스레드 동기화(Synchronization) 2-1. 스레드 동기화의 필요성 - 멀티 스레드를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두 개 이상의 스레드가 하나의 공유 데이터에 접근하.. 2022. 11. 14. [8주 차] - 내부 기억 장치 (2), 외부 기억 장치 (1) 과목명 : 컴퓨터 구조(Computer Organization & Architecture) 수업일자 : 2022년 10월 20일 (목) (A) 반도체 기억장치(Semiconductor main memory) (B) 오류 정정 (C) 향상된 DRAM의 조직 - SDRAM - DDR SDRAM - DDR2 - DDR3 1. 오류 정정(Error Correction) - 반도체 기억장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반도체 기억장치의 시스템 오류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구분됩니다. 1-1. 하드 장애(Hard failure) - 영구적인 물리적 결함으로, 기억 소자가 안정되게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는 상태입니다. - 0 또는 1.. 2022. 11. 11. [11주 차] - 메서드 오버로딩, 생성자, 참조변수 this, 멤버 변수 초기화 과목명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bject oriented programming) 수업일자 : 2022년 11월 09일 (수) 1. 메서드 오버로딩(Overloading) 1-1. 메서드 오버로딩의 정의 - 하나의 클래스 안에 동일한 이름을 가진 메서드를 여러 개 정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메서드를 하나의 이름으로 정의하고, 메서드의 이름을 절약할 수 있기에 오버로딩이 사용됩니다. 1-2. 오버로딩의 성립 조건 - 메서드명이 동일해야 합니다. - 매개변수의 개수 또는 매개변수의 데이터 타입이 달라야 합니다. - 매개변수는 같고, 리턴 타입이 다른 경우는 오버로딩을 할 수 없습니다. (리턴 타입은 오버로딩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1-3. 오버로딩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 .. 2022. 11. 10. 이전 1 ··· 4 5 6 7 8 9 10 ··· 15 다음